서울시는 2023년 어르신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합니다. 12월 5일부터 25개 자치구에서 모집하며, 참여를 원하는 어르신은 자치구별 시니어클럽(노인일자리지원기관), 노인종합복지관, 종합사회복지관, 대한노인회 지회 등 어르신일자리 사업 수행기관으로 문의·신청하면 됩니다.
사회서비스형 일자리 2,000개 확대
‘어르신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’은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, 2023년에는 일자리 6만9,900개를 마련했습니다.
2023년 어르신일자리의 특징은 베이비 붐 세대의 노년층 진입 양상을 반영하여, 사회 경험과 경력을 활용 가능한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2,000여개 확대했다는 점입니다.
사회서비스형은 월 60시간 일하고 월 최대 71만원 급여(주휴수당 포함)를 받는 일자리로, 돌봄·복지 시설 등에서 다양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 참여할 수 있으며, 총 8,402개의 일자리를 제공합니다.
시장형 일자리 6,049개 마련
매출이 늘어나면 추가 소득이 발생하는 시장형 일자리도 늘렸습니다. 카페 운영, 소규모 공산품·식품 제조, 지하철 택배 등 다양한 일자리를 지속 발굴하고 있으며, 만 60세 이상이면 신청 가능합니다. 2022년보다 1,200개 확대하여 총 6,049개의 시장형 일자리를 마련할 예정입니다.
공익활동형 일자리 5만3,249개 마련
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가 신청할 수 있는 공익활동형은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케어, 취약계층 지원, 공공시설 봉사 등 다양한 활동이 마련되어 있습니다. 총 5만3,249개의 일자리가 마련돼 있으며, 정부 예산안과 서울시 예산안이 심의 중으로, 그 결과에 따라 늘어날 수 있습니다. 월 30시간 활동하고 27만원의 활동비를 수령하게 됩니다.
민간 일자리 취업알선형 2,200개 추진
만 60세 이상이며 민간 일자리 취업을 원하는 어르신께 취업을 알선하거나 단기 파견을 수행하는 취업알선형도 2,200개를 추진합니다.
12월 5일부터 참여자 자치구별 모집 예정
2023년 참여자 모집은 자치구 별로 12월 5일부터 2~3주간 진행됩니다. 모집 기간이 끝나더라도, 대기 신청을 하거나, 차후에 추가 모집이 공고될 수 있습니다.
자세한 사항은 자치구 어르신일자리 담당 부서 또는 어르신일자리 수행기관으로 문의하면 됩니다. 거주지와 가까운 수행기관은 서울시 다산콜센터 02-120으로 전화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참여자격은 사업 유형 별로 다르며, 사회서비스형은 만 65세 이상, 시장형은 만 60세 이상이면 신청 가능합니다. 단, 공익활동형은 만 65세 이상이면서 기초연금 수급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한편,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수급자,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, 장기요양보험 등급 판정자, 다른 일자리 사업 참여자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.
어르신 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 안내 페이지
'5060부업찾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, 4050세대 369만 명에게 일자리 교육 제공한다 (0) | 2022.12.28 |
---|---|
노인들도 쉽게 할 수 있는 데이터 라벨러에 도전하세요 (0) | 2022.12.19 |
해외구매대행으로 돈 버는 방법 (0) | 2022.12.05 |
온라인마켓 판매 상품, 어떻게 찾아야 하나? (0) | 2022.12.04 |
무자본 무점포 온라인 위탁판매, 부업으로 괜찮을까? (0) | 2022.12.03 |
댓글